치아교정 주의사항과 문제점

교정치료의 주의사항과 문제점

치아교정은 치료기간이 굉장히 긴 치료이며, 긴 치료기간 만큼 변수나 이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본인에게 이상한 증상이나 예기치 못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인터넷이나 지인을 통해 알아보기 보다 주치의와 상의하는게 바람직합니다.

칫솔질이 중요한 이유

교정치료 중이 아니라도 칫솔질은 중요하지만, 복잡한 교정장치가 치아에 붙어있는 기간 동안은 특히 신경 써야 합니다.
교정치료를 시작할 때에 병원에서 칫솔질 방법을 알려드리지만 내원 간격이 4~6주이므로 이 기간 동안에 칫솔질을 게을리한다면 충치나 잇몸질환이 생길 가능성이 큽니다.

음식에서 주의할 점

교정치료 중 주의만 한다면 대부분의 음식을 맛있게 드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딱딱하거나 질긴 음식, 끈적거리는 음식은 철사를 변형시키거나 장치를 떨어지게 만듭니다.
또한, 음식을 드신 다음에는 반드시 칫솔질을 하시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합니다.

환자분의 협조

교정치료는 교정의사 단독으로 치료를 한다기보다는, 교정의사와 환자분이 서로 협력하여 치료를 하는 것입니다.
치료 과정에서 고무줄이나 가철식 교정장치를 착용하여야만 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러한 과정에서 환자분이 스스로 잘 해주셔야 치료 기간도 단축 되고 치료 결과도 좋습니다.

치아표면의 탈회

탈회란 치아표면이 하얀색으로 부식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탈회는 치아를 닦는 것을 게을리 하면 누구에게나 생길 수 있는 것이지만, 교정장치를 장착한 사람의 경우 치아를 제대로 닦지 않으면 치아표면이 탈회가 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일단 치아표면이 탈회되면 이것은 다시 회복될 수 없습니다.
탈회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경우 별 문제가 되지 않으나, 그 정도가 심한 경우 보기가 좋지 않고 충치로 전이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치료가 필요합니다.

잇몸의 염증

교정장치를 장착하고 치아를 닦는 것을 게을리 하면 잇몸이 붓고 피가 나기 쉽습니다.
교정치료 중에 잇몸의 염증이 심해지면 이에 대한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하며, 치아를 닦는 것을 합니다.
대게의 경우 교정치료 중에 발생한 잇몸의 염증은 교정장치를 제거하고 치아를 제대로 닦으면 별도의 치료를 받지 않고 치유될 수 있으며, 그 후유증도 생기지 않습니다.

잇몸의 퇴축

사람은 나이가 들수록 잇몸의 퇴축(잇몸이 밑으로 내려가 치근이 노출됨)이 일어납니다.
성인에서 치솟질이 미흡하거나 너무 오랜 기간 동안 교정치료를 하면 치은 퇴축이 보다 빨리 진행될 수 있습니다. 또한 치아의 위치가 좋지 않다거나 치아이동 한계상 발생 할 수도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칫솔질 방법을 배워 열심히 해야 하며 짧은 기간에 교정치료를 끝낼 수 있게 치료에 적극적으로 협조 하여야 합니다.

치근의 흡수

교정치료를 하면 치근(치아의 뿌리)이 뼛속을 이동하는 동안 흡수되어 짧아질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교정치료에 의한 흡수의 정도는 경미하여 치아의 수명이나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그러나 전신적 질환이 있거나 외상을 당한 치아이거나 원인불명으로 치근이 심하게 흡수될 수도 있으며,
때에 따라 교정치료를 중단하고 근관치료(신경치료)를 하여야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턱관절의 장애

교정치료 중에 턱관절이나 주위근육의 동통, 관절잡음(입을 벌릴 때 딱하는 소리가 남)과 같은 관절장애의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학술적인 연구에 의하면 턱관절의 장애는 교정치료와 관련이 없다고 합니다. 일단 턱관절 장애의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면 이에 대한 별도의 치료를 받아야 하며, 그 증상이 완화될 때까지 교정치료를 잠시 중단 할 수도 있습니다.

교정치료 재발

교정치료가 끝나고 재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기간 유지장치를 장착하여야 합니다.
이에 대한 협조가 없으면 재발을 막기 힘들며, 재발의 정도가 심한 경우 별도의 교정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유지기간이 끝난 후에도 교정치료의 결과가 완벽하게 유지될 수는 없습니다. 치아는 나이가 듬에 따라 생리적인 이동이 약간은 있고, 치아의 위치가 주위의 환경조건(성장발육, 사랑니, 치주질환, 구호흡, 악기의 연주 나쁜 습관 등)에 적응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조금씩 변화하기 때문입니다.